오염물질
대기오염물질
고로 집진브리더 설치
대기오염물질 저감 설비 운영 효율화
- 황산화물(SOx): 2004년부터 주요 배출원인 소결공장에 활성탄 흡착설비, 중탄산나트륨(NaHCO3) 탈황설비 등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황산화물 배출을 저감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존 설치한 탈황 설비의 효율 개선, 부생가스 품질 개선(H2S 제거 효율 증대) 등을 통해 황산화물 배출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 질소산화물(NOx): 질소산화물을 발생 단계부터 저감하기 위해 연소시설의 기존 버너를 저녹스 버너로 교체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배출원인 소결/발전/압연 공정 등에는 선택적 촉매/비촉매 환원 기술을 활용한 탈질 설비를 (SCR1), SNCR2)) 운영하여 배출량을 집중 관리하고 있습니다.
1)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2)SNCR: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비산먼지 저감
-
Silo
-
자동살수
-
복포
화학물질
화학물질 등록 및 관리시스템
강화되는 화학물질 관리기준에 맞춰 화학물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현재 연간 취급량 1,000톤 이상 131종의 제조·수입 화학물질 등록을 완료하였으며, 고로슬래그 등 복합화학물질과 취급량 1,000톤 미만의 화학물질도 법정 기한에 맞춰 등록하여 관리할 계획입니다.
허가되지 않은 유해화학물질이 포함된 경우 입고를 차단하고 공급사와 협업하여 비유해 화학물질로 전환 사용하며, 전환이 불가능한 경우 정부의 허가를 받아 설비개선 및 보호구 착용 등 적정 방재장비와 설비를 갖추고 취급합니다. 법 기준보다 강화된 작업자 노출기준을 적용, 작업현장을 관리하여 작업자 노출을 최소화하며, 2022년부터는 자체적인 사내 사용금지 화학물질 제도를 도입해 저독성 제품으로 대체하여 근로자와 환경에 대한 화학 노출을 저감하고 있습니다.
화학물질 취급 현장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2016년부터 화학물질 입고 단계부터 사용 단계까지 전체의 유통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화학 물질을 운반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추적 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화학물질 취급 시설의 엄격한 기준 준수를 위한 개선과 누출 감지 시스템 설치 등 현장의 화학물질 관리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
화학물질 운송 모니터링 시스템
-
화학물질 설비 누출 감지 시스템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체계
직원들에게는 화학사고 대응 및 안전교육을 실시하여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양 제철소 내 화학물질 관리 주관부서를 설치하고, 화학물질관리자를 각각 50명 이상 선임하여 책임 관리하고 있습니다.
특수방재차량과 전문인력이 배치된 안전방재센터의 운영을 통해 조기 대응능력을 향상시키고, 정기적인 민관합동훈련 및 자체소방훈련으로 사고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 화학안전을 위한 화학안전공동체의 대표기업 역할을 수행하여 중소기업 화학안전 지원 및 지자체 화학안전위원회 위원활동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
화학물질 특수방재차량
-
민관합동훈련
공급망 화학물질 관리
화학물질 취급 시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고, 새로운 접근방식을 수립하며, 관련 법규준수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각 생산제품은 소재별로 환경유해물질성적서를 발급해 전자거래시스템(E-Sales)을 통해 외부 이해관계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정폐기물
법 기준 위반 시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되나, 2023년 포스코는 위반사항 없이 모두 적법하게 지정폐기물을 처리하였습니다. 나아가 포스코는 지정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신규 활용처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2023년 총 폐기물 중 지정폐기물의 비중은 0.56%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3)2022년 폐기물관리법 개정으로 일반폐기물 일부가 지정폐기물로 변경
4)2023년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근거하여 일반폐기물 일부가 지정폐기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