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관계자 소통
포스코는 창립 초기부터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것을 중요한 책임으로 여기고, 원칙과 신뢰에 기반하여 지역사회와 진정성 있게 소통하며 이슈를 해결하고 더 나은 사회로 발전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 소통 조직
기존 사업장의 운영과 신규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지역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이슈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 지역협력·소통 및 환경을 전담하는 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안에 따라 본사 유관 부서와 유기적으로 협업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지역사회 보호 정책 및 소통 프로세스 정립
지역사회의 기본권인 환경권·안전보건·인권을 보장한다는 정책이 회사의 인권경영 가이드라인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지역사회 기본권 보장을 위하여 이해관계자 소통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정기적·비정기적 미팅을 통해 이슈 해결과 발전 방향을 논의 및 실행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 소통 프로세스
1. 이해관계자 식별
사업장의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정부기관, 시민단체, 환경단체 등)
2. 소통채널 운영
이해관계자 특성 고려(지역주민 설명회/간담회, 시민단체 교류, 환경개선협의체 등)
3. 정보제공 및 양방향 소통
지역사회가 요청하는 또는 우려하는 내용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제공
4. 피드백 및 주요내용 공개
지역사회의 피드백에 따른 추가 소통 및 주요 내용은 공개
정기 협의체
지방정부, 환경단체, 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지속가능발전협의회’에 회사가 참여하여 지역사회의 주요 현안 이슈 분석, 개선 방안 수립, 진행 과정 모니터링 등 전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 반영하고 있습니다. (소통주기 : 1회/분기)
지역사회 부정적 영향 최소화
회사는 경영활동으로 인해 지역사회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식별하고 완화·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규 투자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에는 투자 검토 단계에서부터 ESG 체크리스트를 통해 지역사회에 미칠 수 있는 리스크와 대응 방안을 고민합니다. 사전 리스크 관리에도 불구하고 이슈가 발생할 경우에는 지역사회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여 이슈 해결 방안을 수립·시행하고, 시행 결과에 대한 효과성에 대해서도 사후 모니터링합니다.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1. 부정적 영향 식별
- 고충처리 채널 또는 지역사회 협의체 등을 통해 접수
- 사업장 운영 또는 신규 프로젝트 검토과정에서 확인
2. 지역사회 리스크 평가
- 안전, 인권 및 환경 등 부정적 영향에 대한 평가 실시 (내부조사 또는 외부 전문기관에 의한 평가)
3. 개선방안 수립
- 불만사항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 운영 (지역사회 의견 수렴)
- 위험 평가 결과에 따른 완화/최소화/보상 조치 수립
4. 모니터링 및 보고
- 개선 조치에 따른 효과성 평가
- 홈페이지를 통한 성과 공개
운영사례
사업장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설비 수리 작업' 관련, 발생 할 수 있는 소음과 가시오염등 환경 리스크 확인
시뮬레이션 기반 개선방안 수립 후 지자체 및 인근지역 주민 대상 소통 진행 (사전 설명회 4회 실시)
피드백 반영후 수리 작업 진행 (영향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