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
포스코는 ‘올바른 일을 올바르게 한다’ 는 윤리경영 철학을 기반으로 법과 윤리를 준수할 뿐만 아니라 기본에 철저하고 원칙을 지키는 경영활동을 통해 윤리적 기업문화를 정착시켜 왔습니다. 회사는 변화하는 사회적 눈높이를 반영하여 글로벌 선도기업 수준의 新윤리경영 체계를 마련하였고 앞으로도 모든 업무에서 윤리경영의 핵심 가치인 진실 (Integrity), 존중 (Respect), 공감 (Mutual Empathy)을 기반으로 행동하고자 합니다.
진실 (Integrity), 우리의 모든 의사결정과 행동이 투명하고 정직하며
존중 (Respect), 모든 사람을 인격적으로 대우하고 상호존중과 배려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대합니다.
공감 (Mutual Empathy), 이해관계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사람의 입장을 생각하고 이해하며 더욱 협력적이고 포용하는 문화를 만들어 갑니다.
윤리경영 관리체계
회사는 대표이사 직속의 정도경영실에서 윤리경영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정도경영실은 국내 사업회사, 해외법인 및 협력사를 대상으로 윤리경영 정책 수립·운영 지원, 직급별·직군별 맞춤형 윤리교육 및 캠페인 전개, 인간존중 위반 및 비윤리 감사 등 다양한 윤리실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윤리경영 주요 이슈 및 실적은 최고 경영층에 보고하고,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사회 산하의 감사위원회에도 정기적으로 연 2회 보고하고 있습니다.

윤리경영 프로세스
-
윤리정책 및
프로세스 운영
- 윤리 규범/ 실천 지침 제정 및 개정, 거버넌스 및 전략 수립
-
비윤리
리스크 예방 활동
- 전 임직원 윤리서약, 온/오프라인 맞춤형 교육 실시, 윤리경영 캠페인
-
비윤리
진단 및 조치
- 임원/직책자 윤리 세션 및 상시 설문조사를 통해 감지된 비윤리, 인간존중 위반 리스크 관리, 비윤리 신고 접수건 감사 및 후속 조치
-
변화관리
- 감사를 통한 비윤리 및 낭비 개선, 사업회사 및 협력사 윤리경영 지원 활동
윤리기준 및 정책의 표준화
윤리교육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며 국내외 전 임직원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포스코의 윤리경영 상담 및 감사사례를 중심으로 한 ‘포스코 윤리경영의 이해’를 e-러닝 필수 교육으로 운영하여 전 임직원이 온라인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월 윤리경영 캠페인을 통해 윤리 딜레마 발생 시 대처 방법, 괴롭힘 발생 예방 및 대처 방법 등을 전 임직원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자료는 전 그룹사에 공유하고 있습니다.
고객 접점부서나 구매부서의 요청에 의한 비윤리 사례 중심으로 심화교육을 실시하여 현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윤리 리스크 예방활동도 실시하고 있는 한편 영문 캠페인 자료도 작성하여 해외법인에 배포하여 현지채용인(Global Staff)의 교육에 일조합니다.
- e-러닝 필수교육 (포스코 윤리경영의 이해/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 윤리경영 캠페인 전사 게시 (비윤리, 괴롭힘, 성희롱, 갑질 예방 등)
- GIH(Global Information Hub) 시스템을 통한 윤리경영 캠페인 공유
- 계층/직급별 교육 : 신임 임원/직책자/주재원 교육, 신입/경력/인턴사원 교육, 해외 현지직원 교육 등
- 부서별 특성화 교육 : 원료실, 투자엔지니어링실, 마케팅본부 등 대외 접점 부서 대상 사례 중심 심화교육
- 성윤리 특별교육 : 고근속 직원 중심 성윤리 준수 특별교육 실시(총 31개 차수, 외부 전문가 초빙)
* 임원 및 직책자는 PIUM교육을 통해 매년 실시
윤리진단 및 조치
설문조사
임원 윤리세션 | 임원의 윤리경영 마인드 점검 (연 1회) |
---|---|
직책자 윤리세션 | 직책자의 윤리 리더십 제고 (연 1회) |
윤리 리스크 감지 설문 | 업무 비윤리, 인간존중 위반 (성희롱, 괴롭힘 등) 실태 점검 (월 1회) |
신고센터 운영
이해관계자 누구나 상담 및 신고가 가능하며, 임직원이 청탁을 받을 시 청탁 받은 내용은 반드시 ‘클린 포스코 시스템’에 기록·관리하도록 함으로써 투명한 기업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총 420건의 비윤리 신고가 접수, 처리 되었습니다.
-
124부정비리
-
68인간존중 위반
-
23갑질
-
205기타
비윤리 조치
변화관리
2020년부터 현재까지 총 32개사를 대상으로 윤리규정, 제도 도입, 비윤리 신고센터 신설, 윤리교육 캠페인 제공, 윤리 딜레마 상담 등 협력사 스스로 윤리경영을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지원했습니다.
또한 지원활동 후 협력사 윤리수준 재점검을 통해 개선 정도를 확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협력사가 자발적으로 향후 발전방안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소규모, 신생 사업회사 대상 윤리경영 인프라 및 정도경영 컴플라이언스 구축 지원활동을 통해 인간존중 위반, 비윤리 리스크를 예방하였습니다.
- 협력사 협회를 통한 설명회 실시
- 참여 희망사 모집
- Check List 활용, 윤리 수준 진단
- 회사별 상세 추진 계획 수립
-
윤리 경영 컨설팅 제공
- 윤리제규정 및 실행 조직 점검
- 윤리교육 및 캠페인 지원
- 비윤리 상담/신고 채널 운영점검
- 윤리세션 등 진단/재발방지책 수립
- 협력사별 활동 내역 확인
- Check List 활용, 윤리수준 재진단
- 회사별 추가 보완사항 피드백
구분 | 주요 개선 내용 | 완료 |
---|---|---|
제규정 | 윤리규범, 괴롭힙/성희롱 예방 지침 등 사규 수정, 개정 | ~'23년 5월 |
경영자 의지표명 | 윤리경영 다짐 대회 개최 | ~'23년 6월 |
CEO 메시지 및 임직원 윤리서약 | ~'23년 6월 | |
조직 및 제도 | 고충처리 프로세스 점검 및 운영 기준 마련 | ~'23년 6월 |
신고제도/채널 도입 및 안내, 청탁 방지 프로세스 점검 | ~'23년 7월 | |
비윤리 점검 APP 및 인간존중설문(윤리세션) 실시 | ~'23년 8월 | |
실천활동 | 직책자/임직원 윤리 교육 및 캠페인 활동 (매월) 실시 | ~'23년 매월 |
선물 안주고 안받기 운동 실시 및 선물 반송 센터 운영 | ~'23년 9월 |
윤리교육 이수율
지표 | 단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목표 |
---|---|---|---|---|---|---|
윤리교육 이수율 | % | 99.9 | 100 | 100 | 100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