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TNFD 지지
포스코는 생물다양성과 토지 보호와 관련된 국제협약과 TNFD1) 가이드라인을 인지하고,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예방과 사업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사업장 인근 지역의 생태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포항과 광양제철소 인근 해양의 수질 및 저질토에 대한 오염도 조사를 실시 중이며, 필요 시 제3자 기관을 통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전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규사업장 개발 시에는 인근 지역에 존재하는 보호지역과 멸종위기종을 확인하고 각 사업의 생물다양성 관리계획 수립과 실행, 모니터링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포스코는 생물다양성 보호지역 또는 습지에서는 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며, 사업 중 훼손된 자연을 상쇄, 복원 시에는 BAT(Best Available Techniques, 사용 가능한 최고기술) 또는 모범사례 적용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1)TNFD(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자연자본(동식물, 대기, 물, 광물 등) 관련한 위험/기회가 기업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을 정량화, 공개를 촉구하는 협의체
향후 TNFD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생물다양성 관리지표 설정 및 리스크 사전 대응, 생물다양성 감소 방지 및 증진 활동 등을 진행하여 자연자본 이슈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사업장 운영에 적용하여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생물다양성 평가 및 관리
STEP1 | STEP2 | STEP3 | STEP4 | STEP5 | |
---|---|---|---|---|---|
산업특화 생물다양성 의존도/영향도 분석 | 업장 인근 생물다양성 현황 파악 | 사업장 인근 생물다양성 리스크 평가 | 사업장별 완화조치 탐색 |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 |
추진 활동 | ENCORE2) 툴을 활용하여 철강업의 생물다양성 의존성 및 영향도 분석 | IUCN 지정 멸종위기종 분석,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분포 여부, 사업장 인근 위기종 서식 여부 | 세계자연기금(WWF, World Wild Fund for Nature) 생물 다양성 리스크 필터(BRF, Biodiversity Risk Filter)를 활용하여 국내 사업장별 세부 생물다양성 리스크 분석 | 생물다양성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국내외 사업장별 완화 활동 | 모니터링 보고 및 검토 |
활용 툴 | ENCORE | IUCN | WWF BRF | TNFD LEAP | TNFD LEAP |
2)비즈니스 영위를 위해 기업이 의존하는 자연 자본의 유형과 산업별 경제적 활동으로 인해 자연 환경 변화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하는 툴
철강산업의 자연자본 의존도 및 영향도
구분 | 유관 지표 | 수준 |
---|---|---|
의존도 | 유량조절(Water flow maintenance) | Medium |
토양 안정화 및 침식제어 (Mass stabilization and erosion control) | Low | |
지표수(Surface water) | Medium | |
지하수(Ground water) | Medium | |
기후조절(Climate regulation) | Very Low | |
영향 | 용수사용(Water use) | High |
온실가스 배출(GHG emission) | High | |
고형 폐기물(Solid waste) | High |
사업장 인근 생물다양성 위기종 현황
구분 | 취약 | 위기 | 위급 | 합계 |
---|---|---|---|---|
포항 | 31 | 18 | 1 | 50 |
광양 | 41 | 25 | 5 | 71 |
구분 | 포유류 | 조류 | 파충류 | 양서류 | 어류 | 연체동물 | 식물 | 균류 | 기타 |
---|---|---|---|---|---|---|---|---|---|
포항 | 5 | 13 | 2 | 0 | 23 | 1 | 4 | 1 | 1 |
광양 | 5 | 17 | 2 | 1 | 39 | 1 | 3 | 1 | 2 |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Summary and Statistics (Threatened species in each major group by country)
세계자연기금(WWF, World Wild Fund for Nature)의 생물다양성 리스크 필터(BRF, Biodiversity Risk Filter)를 활용하여 철강업 및 포항, 광양 사업장 인근의 생물다양성 리스크를 파악하고, 지역 생태계의 건강함과 인간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생물다양성 압박(Pressures on Biodiversity)3)과 환경 요소(Environmental Factors)4)를 토대로 리스크를 분석하였습니다.
리스크 분석결과 생물다양성 압박이 높은 요소인 환경오염, 환경요소 중 리스크가 높은 것은 희귀생물의 감소로 나타났습니다.
3)생태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대기/물/토양 생태계의 상태와 수분에 대한 종합 리스크를 의미.리스크가 낮을수록 생태계가 건강한 상태이며 회복력이 강함.
4)지역 환경 자산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지표. 리스크가 낮을수록 생물다양성 관련 영향 발생 가능성이 낮음
생물다양성 리스크 | 위험도(지역 기준) | ||||
---|---|---|---|---|---|
포항 | 광양 | ||||
생물다양성 압박 | 육지, 담수, 해양 이용변화 |
|
|||
산림파괴 | |||||
감염 | |||||
환경오염 | |||||
환경 요소 | 보호/보존 지역 |
|
|||
주요 생물다양성 지역 | |||||
생태계 상태 | |||||
희귀성* |
-
생물다양성 압박
-
환경 요소
사업장 인근 지역의 해양 생태계에 조사를 위해 생태계에 영향이 큰 동·식물 플랑크톤, 부착해조류, 부착저서동물 등 생태계 피라미드의 하위계층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조사결과 포항은 총 178개, 광양은 168개 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 | 식물 플랑크톤 | 동물 플랑크톤 | 부착해조류 | 부착저서동물 |
---|---|---|---|---|
포항 | 30 | 22 | 51 | 75 |
광양 | 36 | 28 | 55 | 49 |
환경영향 요인별 리스크 및 완화
사업장 현황 | 환경영향 리스크 요인 | 사업장 인근 현황 | ||||
---|---|---|---|---|---|---|
지역 | 면적 | 온실가스 배출 | 대기 | 수질 | 폐기물 | 사업장 5km 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역 |
포항 | 9.5㎢ | 기후변화 가속, 생물의 분포와 서식지 변동 | 동식물 생태계 파괴, 생물 다양성 감소 | 수생 생물 서식지 파괴, 물 부족, 생물 다양성 감소 | 폐기물 재활용 규제, 처분 한계 | 없음 |
광양 | 21.4㎢ | 없음 |
비고 | 영향 및 리스크 | 주요 완화 조치 활동 |
---|---|---|
생물다양성 영향 저감 | 온실가스 배출 |
|
대기 |
|
|
수질 및 물 부족 |
|
|
폐기물 |
|
사업 단계별 리스크 예방
투자 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모든 투자 심의 프로세스에 있어 ESG 체크리스트 점검 사항을 투자심의보고서에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ESG 체크리스트는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 배출, 수자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규모 투자, 플랜트 신설 시 환경영향평가 및 주민의견 수렴을 의무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포스코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수소환원제철로의 전환을 준비 중이며, 포항에 수소환원제철소를 설립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신규 수소환원제철 부지에 관한 환경영향평가를 착공 전 단계부터 반경 5km 이내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해당 평가는 총 9개 평가항목5)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해양수질, 해양퇴적물, 해양생태계, 기상, 대기질, 악취, 소음/진동, 위생/공중보건, 토양
생물다양성 보전 및 증진 활동
해양생태계 복원과 부산물의 순환활용을 위해, 지난 10여 년간 철강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슬래그를 활용하여 ‘트리톤어초(Triton)’를 제작하고, 바다사막화 지역에 적용하여 바다숲을 조성하고 해양생태계 복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트리톤어초는 칼슘과 철 등 해양 생태계에 유용한 미네랄 함량이 높아 해조류 생장 촉진으로 바다사막화 방지에 효과가 있습니다. 현재까지 총 7,000여 개의 트리톤어초를 국내 바다사막화 발생 연안에 설치하였고, 2023년에는 제철소 인근 해양 생태계 복원을 위한 지역 협력 사업으로 포항에 트리톤 바다숲을 조성하였습니다. 울릉도 및 포항 바다숲 조성 후 사후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생태종이 증가하여 생물다양성 보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포스코의 ‘트리톤 바다숲 조성을 통한 해양 생태계 복원’의 노력은 해외에서도 인정받아 지난 2023년에는 국제 기업시민 컨퍼런스 ICCC(International Corporate Citizenship Conference)에서 아시아기업 최초로 환경혁신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2024년 4월에는 해양생태계를 증진하여 지속가능한 바다 환경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해양수산부와 ‘블루카본6)과 수산자원 증진을 위한 바다숲 조성 협약’을 체결하고 모포리, 구평1리에 바다숲을 2024년 내 신규로 조성할 예정입니다.
6)블루카본: 해안 생태계에(해초류, 해조류, 맹그로브 숲, 습지 등) 의해 흡수되는 탄소
-
트리톤 인공어초 설치
-
바다숲이 조성된 트리톤 인공어초
-
민관협력 바다숲 조성 협약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