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조직
포스코 대표이사 직속으로 안전보건기획실을 두고, 전 사업장의 안전보건 총괄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는 안전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안전방재그룹이 있습니다. 현장 관리감독자와 안전보건파트장 외에도 안전관리 지원인력을 공장마다 배치하고 있으며, 고위험 작업에는 생명지킴이1)를 별도로 배치하고 있습니다.
1)생명지킴이: 끼임, 떨어짐 등 6대 고위험작업에 투입되어 작업 안전조치 현황,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 등을 관찰 및 계도
안전자문위원회
포스코는 2022년 5월부터 안전보건 최고 책임자(CSO), 사내외 안전 전문가 9인으로 구성된 ‘안전자문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세 차례 위원회를 개최하여 포스코의 안전전략과 안전교육 방향, 자율적 안전관리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2025년에는 관리감독자의 책임 의식 강화 및 관계수급사의 안전 실행력 향상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그룹안전협의체
포스코그룹은 2022년 4월부터 국내외 주요 사업회사와 해외법인이 참여하는 ‘그룹안전협의회’를 반기 단위로 운영하여 국내외 주요 사업장의 안전보건 현황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포스코는 그룹안전협의회를 통해 그룹 안전수준 상향 평준화를 목표로 그룹 차원의 통일화된 안전 전략 및 리스크 관리 체계를 수립하고 그룹사 간 안전활동 벤치마킹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4년 그룹안전협의회에서는 관계사 안전관리, 실습 중심 안전교육, 안전활동 임직원 참여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되었습니다.
그룹안전협의체 운영 체계
구분 | 참석대상 | 주요내용 | |
---|---|---|---|
그룹사 | 해외법인 | ||
철강부문 지속가능협의회 | 대표이사 | 법인장 | 국내·외 철강부문 ESG 현안 공유 및 대응방안 |
그룹 안전협의회 | 안전담당 임원 | 안전담당 임원 | 포스코그룹 안전보건 성과 공유 및 관리체계 점검 |
포스코 안전협의회 | 안전담당 임원 | - | 포스코 안전보건 성과공유 및 관리체계 점검 |
그룹안전협의회 개최 실적 및 주요 안건
개최일자 | 주요 안건명 |
---|---|
2024. 3. 26 | · 50인 미만 관계사 안전체계 지원 현황 및 계획
· 실습·체험·토론 중심의 안전교육·훈련 계획 · 포스코 마음건강 케어 추진 현황 등 |
2024. 10. 23 | · 공장장·리더 주도의 고위험작업 안전관리 강화 · 포스코 안전보건플랫폼 그룹사 확산 진행 현황 · 작업 테마별 실습 중심의 훈련 및 안전조작 경진대회 결과 |
운영현황
10대 안전철칙
포스코는 2004년부터 ‘10대 안전철칙’을 운영해왔으며, 변화하는 작업 환경 및 임직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2023년 7월에 개정안을 발표하였습니다. 개정된 ‘10대 안전철칙’은 국내 사업장과 해외 사업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그룹사에도 공유하여 각 사에 적합한 안전철칙을 수립하는데 참고가 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 관리체계 9요소
포스코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이행하고 글로벌 선진 안전체계를 정착시키기 위해 2022년부터 안전보건 관리체계 9요소를 정립하여 실행하고 있습니다.
1. 경영진 의지 및 목표
포스코는 책임있는 안전보건 관리와 운영을 위해 안전보건 최고 책임자(CSO)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경영방침을 통해 안전이 생산, 품질, 공기, 납기 등 모든 가치보다 최우선임을 명문화했습니다.
2. 조직 인력 및 예산
포스코는 안전 분야의 책임관리 및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대표이사 직속의 안전보건기획실을 두고, 전사 안전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장과 유기적인 소통을 통해 안전 이슈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전사적인 안전 목표 달성을 위해 안전활동 모니터링 및 우수 사례 공유 등 조직 전체의 안전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포스코는 안전보건 예산을 독립적으로 편성, 운영하고 있으며, 현장 위험요소의 신속한 개선을 위해 안전 예산 선실행-후정산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3. 양방향 의사소통
포스코는 회사와 직원, 직영과 관계사를 위한 다양한 안전 소통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철소장, 공장장 등 회사 측 대표자는 포스코의 근로자뿐만 아니라 관계수급사의 의견까지 모두 적극적으로 청취하여 안전보건 목표와 정책을 수립합니다.
구분 | 참석 대상 | 주기 | 주요 내용 |
---|---|---|---|
포스코 안전협의회 | 안전보건기획실장, 포항·광양제철소 임원, 대의기구·관계사 대표 | 반기 | 포스코 안전보건 성과 공유 및 관리체계 점검 |
그룹 안전협의회 | 그룹사 및 해외법인 안전담당 임원 | 반기 | 포스코그룹 안전보건 성과 공유 및 관리체계 점검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
위원장(제철소장), 근로자측 위원(대의기구 대표 포함), 회사측 위원 |
분기 |
제철소의 안전·보건에 관한 주요 이슈 심의·의결 (산업재해 예방 계획 수립, 근로자 안전·보건 교육에 관한 사항 등) |
사업주간협의체 | 부소장·부장 주관(부문단위), 관계사 대표이사 | 매월 | 공장별 안전보건 성과분석 및 개선활동 공유 |
노사합동커미티 | 공장장 주관(공장단위), 관계사 실무자 및 소속 대의기구 직원 | 매주 | 공장별 안전보건 이슈 공유 및 VOE 청취 |
4. 유해위험요인 관리
포스코는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위해 사전에 유해위험을 발굴하고, 안전신문고를 운영하며 위험 요소를 개선하는 과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공장별 다발사고 분석 및 발굴
- 전사 고위험 유해위험 발굴 현황 분석 및 피드백(월 1회)
- 유해위험 관리 성과분석 회의: 전사(반기), 사업장(분기), 공장(월) 단위로 운영
구분 | 이용대상 | 유해위험 발굴 건 수 | 주요 개선 사항 | |
---|---|---|---|---|
2023 | 2024 | |||
안전신문고 | 제철소 출입자 전원 | 1,024 | 1,125 | 작업장 주변 안전시설물 설비의 불안전 상태, |
유해위험 발굴 | 직원 및 관계사 직원 | 41,564 | 39,556* |
5. 관계수급사 관리
포스코는 포스코 내에서 작업하는 외부 관계수급사의 안전사항을 사전에 확인하고, 적격한 수급사가 사업장에 출입할 수 있도록 미흡한 부분은 지원하는 안전상생인증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찾아가는 안전버스’ 제도를 통해 안전교육 여건이 열악한 관계사를 대상으로, 안전보호구 착용 실습 및 안전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장에는 무더위 쉼터 역할을 겸하는 안전버스를 운영하면서, 2024년에는 총 4대의 버스로 1만 3,000여명이 교육을 받았습니다.
6. 법령 및 표준절차 준수
포스코는 사업장 내 중대재해처벌법 이행 의무사항을 반기 1회 이행 점검하여 미흡한 사항을 지속적으로 발굴·개선 하고 있습니다. 또한 양 제철소 안전주관부서의 주도하에 상시 및 테마 진단 등 안전 Audit 활동을 통해 기본 안전 수칙과 표준을 반드시 지키는 안전문화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제철소 내 상시 안전 Patrol 활동을 통해 약 3,430건의 부적합 사례를 발굴하고 개선조치를 실시하였으며, 장기 수리 현장 가동 전 안전 진단을 통해 약 200건의 부적합 사항을 추가로 발굴·개선하였습니다. 또한, 위탁 운영 설비 및 전기실에 대한 안전 관리 실태 특별 점검과 정비성 투자사업의 안전관리 프로세스 진단을 실시하여, 제철소 전반에 걸쳐 법적·제도적 요구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고, 안전관리 수준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7. 사고 조사 및 관리
사고 발생 시에는 관련 사실을 모든 임직원에게 고지하고 사고 조사를 하여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습니다.
비상 사태 발생 시에는 ‘중대재해 신속대응 지침’에 따라 대응하며 전담 대응팀을 중심으로 신속한 보고와 조치를 실시하고, 응급환자 이송과 치료를 위한 전용 헬기와 의료기관 연계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안전_리스크 관리 섹션 참조)
8. 교육·훈련
포스코 안전교육은 훈련·토론·실습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협력사 안전교육 체계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정안전관리 전문 역량 향상을 위해 PSM(공정안전관리)사외 전문가를 채용하고 PSM지도사(2024년 기준 355명)를 육성하여 PDCA(Plan-Do-Check-Action, 안전관리 프로세스) 기반의 PSM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제철소 내 P&ID(Piping & Instrumentation Diagram, 공정배관계장도) 작성 및 관리 수준 고도화, P&ID를 활용한 ILS(Isolation and Locking System, 에너지원 격리 및 잠금 시스템)를 실시함으로써 중대산업사고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장 출입자 안전교육
포스코는 안전교육을 이수한 인원에 한해서만 사업장에 출입을 허가하는 출입자 안전교육제도를 운영하여 필수 안전사항과 작업 위험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작업시에는 ILS, 안전작업허가, TBM, 생명지킴이 배치 등 안전절차를 이행하여 사전에 잠재위험을 발굴하고 개선대책을 수립한 후 작업에 참여함으로써 재해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9. 평가 및 개선
포스코는 매월 사운영회의를 통해 안전보건방침에 따른 목표가 계획대로 달성되고 있는가를 점검하고 재해, 주요 아차사고 등 업무상 상해 발생시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안전보건활동 성과를 심사하고 있습니다. 포항제철소, 광양제철소 모두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해 안전 리스크를 정기적으로 외부 전문가에게 점검 받고 있으며, 2024년에는 항만 안전관리, 전기실 출입관리 등 주요 안전사항에 대한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이행하여 리스크 관리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안전기술 적용
포스코는 AI, IoT기술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작업장의 안전 사각지대를 줄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안전 점검 및 모니터링 기술을 도입하여 작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을 사전에 진단·점검하고, 사람이 투입되는 고위험 작업에 로봇을 투입하여 사업장의 안전사고 발생리스크를 원칙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포스코는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안전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4족 보행 로봇을 광양 1고로 풍구에 투입했습니다. 고로의 풍구는 상시 점검이 필요한 중요한 설비 점검 부위이지만,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 질식의 중대재해 위험이 상존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원격 자율주행이 가능한 4족 보행 로봇은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실시간으로 설비 점검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은 풍구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점검 결과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상 상태 발생 시 경고 알람을 보내므로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도 있습니다.
한편, 무인 설비 점검용 바퀴형 로봇도 개발하여 광양 4열연 지하 전기실에 투입했습니다. 전기실은 고압전류가 흐르는 곳으로 감전 및 폭발의 위험이 상존합니다. 포스코는 2024년 바퀴형 자율주행 로봇을 개발해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축구장 2개 이상 면적의 지하전기실에서 배수로 등을 피해 스스로 주행 가능한 경로를 찾아 순찰하고, 전기실 곳곳에 있는 각종 설비의 작동상태를 작업자 없이도 점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현장에 충전 스테이션을 설치해 작업자의 현장점검 부담도 줄였습니다.
앞으로도 포스코는 지속적인 스마트 기술 개발과 현장 적용을 통해 안전한 환경을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
무인 설비점검 4족보행 로봇
-
바퀴형 자율주행 로봇
리스크 관리
비상대응계획
포스코는 중대산업사고 및 재난상황 등 비상사태 발생 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대응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 중이며, 비상대응 체계를 점검을 위해 소방, PSM, 밀폐공간 및 화학사고 등 4대 비상상황에 대응한 훈련을 공장 및 섹션 단위로 실시합니다. 시나리오별로 비상사태 발령, 운전정지 절차, 대피 절차를 수립하여 주기적인 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인근 주민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경우에는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별도 계획과 원칙 또한 수립 및 운영 중입니다.
비상시 대응절차
포스코는 ‘중대재해 신속대응 지침’을 운영하여 비상 사태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지침은 비상 상황 대응 절차와 신속대응 TF 조직 구성 및 운영 방안을 포함하고 있으며 신속대응팀장은 안전보건 최고 책임자(CSO)로 지정되어, 긴급 상황 발생 시 대표이사에게 즉각 보고됩니다. 또한, 업무용 헬기를 응급환자 이송 겸용으로 활용하여 긴급 이송 체계를 마련하고, 의료기관과 협력하여 최적의 치료를 제공합니다.
지표 및 목표
안전관리 목표
포스코는 임직원의 안전보건의식 제고를 위해 기존 근로손실재해율(LTIFR, Lost Time Injury Frequency Rate) 지표에 더해 총기록사고율(TRIFR, Total Recordable Injury Frequency Rate) 지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작은 사고도 드러내는 문화를 정착하여 예방적 관점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은 KPI에 정량적 안전 지표를 반영하고 있으며 일반 직원에게는 안전 인센티브를 도입하여 안전보건 목표와 성과를 명확히 설정하고 보수 정책과 연계된 임직원의 안전보건 성과를 장려합니다.
구분 | 2024 실적 | 2025 목표 | |||
---|---|---|---|---|---|
LTIFR | 0.83 | 0.60 | |||
TRIFR | 1.81 | 2.12 | |||
중대재해자 수(명) | 0 | 0 |
경영진 안전 KPI
- 대표이사 KPI의 25%(국내 사업장 내 발생한 중대재해자 수)
- 제철소장 KPI의 25%(각 제철소 내 발생한 중대재해자 수)
임직원 안전포상제도
포스코는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포상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안전대상, 무재해공장, 안전활동 우수단체 및 개인포상 등 2024년 총 176건의 포상을 지급했습니다.
안전활동 실적
안전강화 주요활동 실적
2024 활동 실적 | 2025 활동 계획 |
---|---|
안전관리 체계·기준·절차에 대한 혁신적 실행 추진 실행 중심 안전관리체계 강화로 중대재해 예방 취약개소 테마진단, 공정안전관리체계 재정립 및 안전교육체계 강화 |
재해 예방 본질에 충실한 안전활동 강화 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의 작동성 향상 및 자율·책임 이행체제 구축 실질적인 안전제도 운영을 통한 직원 수용성 증대 및 체화 |
2024년 주요 교육 실적
과정명 | 수강 인원(명) | 대상구분 | ||||
---|---|---|---|---|---|---|
직영 | 그룹사 | 협력사 | 용역사 | 하도사 | ||
직책자 후보군 안전리더십 교육 | 165 | ● |
|
|
|
|
일반직원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 1,481 | ● |
|
|
|
|
PSM 전문인력 양성 교육 | 2,032 | ● |
|
|
|
|
관계사 계층별 안전역량 향상 | 18,785 |
| ● | ● | ● | ● |
찾아가는 안전버스 | 13,182 | ● | ● | ● | ● | ● |
출입자 안전교육 | 66,246 |
|
|
| ● | ● |
4대 비상상황 대응훈련 실적
구분 | 안전방재그룹 주관 | 환경자원그룹 주관 |
||||||||||
---|---|---|---|---|---|---|---|---|---|---|---|---|
소방(연 1회) |
PSM(반기 1회) |
밀폐공간(반기 1회) |
화학사고(연 1회) |
|||||||||
대상 | 실적 | 실시율 | 대상 | 실적 | 실시율 | 대상 | 실적 | 실시율 | 대상 | 실적 | 실시율 | |
포항제철소 | 68 | 68 | 100% |
78 |
78 |
100% |
127 |
127 |
100% |
32 |
32 |
100% |
광양제철소 |
69 |
69 |
100% |
65 |
65 |
100% |
122 |
122 |
100% |
46 |
46 |
100% |
기술연구원 |
6 |
6 |
100% |
(대상없음) |
- |
- |
4 |
4 |
100% |
1 |
1 |
100% |
서울사무소 |
3 |
3 |
100% |
(대상없음) |
- |
- |
3 |
3 |
100% |
(대상없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