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
조직
포스코는 구매투자본부 산하 동반성장그룹을 필두로 강건한 철강 공급망을 구축하고, 공급사와의 동반성장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포스코 노무협력실 협력기획그룹을 중심으로는 협력사와, 마케팅전략실 마케팅운영그룹 중심으로는 고객사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운영현황
포스코는 Value Chain의 상생협력 문화를 조성하고 참여기업과 포스코의 실질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동반성장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5대 대표 프로그램을 중점 추진하고 있습니다.
동반성장 5대 프로그램
성과공유제(Benefit Sharing)
포스코는 2004년 국내 최초로 성과공유제를 도입한 이래, 협력기업과 공동으로 개선활동을 수행하고 그 성과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참여기업에게 과제 추진을 통해 발생한 재무성과의 50%를 현금으로 보상하고 최대 5년의 장기공급 계약권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기술개발과 매출 확대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합니다.
동반성장지원단
2021년 출범한 동반성장지원단은 포스코의 다양한 분야에서 평균 25년 이상 경력을 쌓은 사내 전문가들이 컨설턴트로 활동하는 중소기업 컨설팅 전담조직입니다. 지원단은 스마트공장, 안전·에너지 절감 등 ESG 경영 지원, 설비·공정 효율화, 품질이슈 해결 등 중소기업의 관심분야에 전문가 역량과 노하우를 연계한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합니다. 특히, 중소벤처기업부의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제조현장에 첨단 IT 기술을 접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PHP 제도
포스코는 SRM(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을 포함한 종합평가를 통해 매년 우수 설비 · 자재 · 원료 공급사를 선정하고 이들을 PHP(POSCO Honored Partner) 공급사로 인증합니다. PHP 공급사는 계약시 보증증권 면제 및 제철소 출입 우대 등의 혜택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진출시 포스코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PHP 공급사는 ‘포스코 PHP 봉사단’을 구성하여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거래사 금융지원
포스코는 거래기업들의 경영여건 개선을 위해 동반성장펀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반성장펀드는 포스코와 뜻을 함께하는 은행, 기업이 공동조성한 펀드로 ‘저리대출펀드’와 ‘철강ESG상생펀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소기업에게 시중금리 대비 저리의 자금대출을 제공합니다. 저리대출펀드는 시중 4개 은행(기업, 산업, 우리, IM)과 5,660억 원 규모로 조성하였고 중소기업에게 최대 40억 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철강ESG상생펀드는 철강업계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포스코, 현대제철, IBK 기업은행이 함께 조성하였고 2022년에는 펀드규모를 1,500억 원에서 2,000억 원으로 확대 하였습니다. ESG 경영역량 강화가 필요한 중소·중견 기업에게 최대 20억 원, 3년 동안 대출이 가능합니다.
또한 포스코는 2009년 ‘하도급상생결제시스템’을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도입하여 2차 협력기업과 노무자에게 하도급 대금과 노무비 등을 직접 지급함으로써 체불 및 미지급 리스크를 원천 차단하고 있습니다.
벤처 및 인재 육성
포스코는 거래기업 지원 뿐 아니라 미래 Value Chain 강건화와 지역균형 발전에도 기여하고자 기술 기반 벤처기업 육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포항에는 포스코그룹(산), 포항공대(학),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연)의 인프라와 협업을 바탕으로 한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체인지업그라운드(CHANGeUP Ground)를 구축하였고 광양시와도 협조하여 체인지업그라운드 광양을 건립(2025년 준공)하고 있습니다. 대기업 최초 전국 단위의 유망 벤처기업 발굴 및 육성 프로그램인 ‘POSCO IMP(Idea Market Place)’와 그룹사 임직원에게 창업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내 벤처’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창업 보육 중인 벤처기업의 Scale-Up 지원을 위해 시제품 제작, 투자 유치, 판로 개척 등 비즈매칭 활동을 적극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포스코는 자체 보유한 교육 및 훈련 인프라를 활용하여 청년 구직자에게 직무 수행에 필요한 실무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고, 채용 소요가 있는 협력 중소기업에 즉시 채용을 연계해 주는 취업 지원 프로그램인 ‘중소기업컨소시엄’ 사업을 통해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과 지역 중소기업 구인난을 동시에 해결하는 데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협력사 교육
포스코는 협력사 등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임직원과 청년들을 대상으로 기초 직무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교육 내용 : 협력사 등 중소기업 임직원 및 청년들을 위한 기초 직무역량
· 교육 대상 : 협력사, 하도사 등 총 548개사 협약 체결 및 교육
· 교육 실적 : 2024년 21,853명 교육(집합교육 21,579명, e러닝 온라인 교육 274명)
구분 | 컨소시엄 교육(2005~) | 기업수요맞춤형 교육(2020~) | 일학습병행 교육(2015~) | 채용 예정자 교육(2014~) |
---|---|---|---|---|
개념 | 산업계 주도의 지역별 직업훈련 기반 조성을 위해 기초 직무 향상 |
협약기업의 직무분석을 통해 훈련과정 설계, 운영 |
현장기반훈련 On-job OJT, 현장 외 Off-job훈련 병행 실시 * 컨소시엄 Off-JT훈련 실시 | 청년 구직자를 위한 * 컨소시엄 Off-JT훈련 실시 |
대상 | 협약기업 재직자 전체 | 협약기업 재직자 전체 | 근속 1년 내 신입사원 | 청년 구직자 |
내용 | · 현장 기술직무 습득·배양 - 기계·전기·용접·크레인 등 · 조직관리, 리더십, 안전, ESG 혁신, 인성 등 |
· 핵심직무에 대한 분석 및 훈련 로드맵 설계 구축 지원 · 경력개발경로 설계 제공 및 HRD 가이드 제공 |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내 직무관련 16개 직종 - 기계요소·동력기계·지게차· 크레인 등 | · 직장인이 갖춰야 할 소양 |
시간 | 인당 4시간 이상, 집합·e러닝 | 인당 4시간 이상, 집합 | 인당 200시간(1년 교육), 집합 | 350시간(2개월), 합숙집합 |
리스크 관리
고충관리
포스코는 전자구매시스템 ‘e-Procurement’ 내 ‘열린구매상담실’을 운영하며 협력기업의 문의와 고충에도 귀 기울이고 있습니다.(2024년 문의 및 답변 실적 15건) 아울러, 외부 이해관계자는 회사 홈페이지(비윤리 신고센터)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기명 또는 무기명으로 의견을 개진할 수 있으며, 회사의 공식 입장을 답변받을 수 있습니다. 접수자는 신분 누설, 보복 등 어떤 불이익도 받지 않습니다. 또한 내용의 사실 관계가 확인되면 모니터링 및 실사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습니다.
지표 및 목표
동반성장 프로그램 성과
프로그램 | 주요 성과 |
---|---|
성과공유제 | 508억 원 지원 |
동반성장지원단 | 131건 과제 지원 |
PHP 제도 | 8건 PHP 봉사활동 진행 |
거래사 금융지원 | 6,164억 원 대출 |
저리대출펀드 | 5,354억 원 |
철강ESG상생펀드 | 810억 원 |
벤처·우수인재육성 | 122개사 참여 |
협력사 교육 실적
연도 | 교육 실적(누계, 명) |
---|---|
2020 | 632,982 |
2022 | 675,410 |
2023 | 696,044 |
2024 | 717,897 |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등급
포스코는 5년 연속 동반성장지수1) 최우수 등급을 받고 있습니다.
1)동반성장위원회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문화 조성을 위해 만든 평가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