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사회)

    보고 범위

    지표의 연도별 대상 법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2022년 : 포스코, 일관밀 3개사
      · 포스코, PT. KRAKATAU POSCO, POSCO YAMATO VINA, 포스코장가항불수강

    - 2023년 : 포스코, 일관밀 3개사, 재압연밀 2개사
      · 포스코, PT. KRAKATAU POSCO, POSCO YAMATO VINA, 포스코장가항불수강, POSCO-Maharashtra(추가), POSCO Thainox(추가)

    - 2024년 : 포스코, 일관밀 3개사, 재압연밀 4개사, 가공센터 4개사
      · 포스코, PT. KRAKATAU POSCO, POSCO YAMATO VINA, 포스코장가항불수강, POSCO-Maharashtra, POSCO Thainox,

        POSCO-Mexico(추가), POSCO-Vietnam(추가), POSCO-CSPC(추가), POSCO-CFPC(추가), POSCO-MPPC(추가), POSCO India PC(추가)

    국내사업장

    업무 관련 재해

    업무 관련 재해 단위 2022 2023 2024
    근로손실재해율(LTIR) 명/20만 시간 0.19 0.07 0.17
    임직원 근로손실재해율(LTIR) 명/20만 시간 0.11 0.03 0.19
    관계사 근로손실재해율(LTIR) 명/20만 시간 0.25 0.10 0.14
    근로손실재해율(LTIFR) 명/100만 시간 0.93 0.35 0.83
    임직원 근로손실재해율(LTIFR) 명/100만 시간 0.56 0.17 0.94
    관계사 근로손실재해율(LTIFR) 명/100만 시간 1.26 0.50 0.72
    총기록사고율(TRIR) 명/20만 시간 0.35 0.34 0.36
    임직원 총기록사고율(TRIR) 명/20만 시간 0.27 0.35 0.39
    관계사 총기록사고율(TRIR) 명/20만 시간 0.41 0.32 0.33
    총기록사고율(TRIFR) 명/100만 시간 1.73 1.67 1.81
    임직원 총기록사고율(TRIFR) 명/100만 시간 1.37 1.76 1.96
    관계사 총기록사고율(TRIFR) 명/100만 시간 2.06 1.60 1.65
    사고사망만인율 0.30 0.00 0.00
    임직원 사고사망만인율 0.00 0.00 0.00
    관계사 사고사망만인율 0.63 0.00 0.00
    임직원 재해
    임직원 근로손실재해자 수(LTI) 20 6 33
    임직원 총기록사고자 수(TRI) 49 62 69
    임직원 사망자 수 0 0 0
    임직원 재해자 수 14 4 25
    임직원 아차사고 건 수 1) 6,408 5,983 4,568
    관계사 재해
    관계사 근로손실재해자 수(LTI) 50 20 26
    관계사 총기록사고자 수(TRI) 82 64 60
    관계사 사망자 수 1 0 0
    관계사 재해자 수 30 16 23
    관계사 아차사고 건 수 1) 289 276 347

    1)조회시점 차이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

    안전보건 인증

    안전보건 인증 단위 2022 2023 2024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률
    (ISO 45001/OHSAS 18001/KOSHA-MS)
    % 100 100 100
    대상 사업장 수 2 2 2
    취득 사업장 수 2 2 2

    공급망 관리

    공급망 관리 단위 2022 2023 2024
    공급사(Supplier) SRM 평가 실시율 % 83.9 82.0 88.0
    거래 공급사 수 1,408 1,380 1,321
    평가 실시 공급사 수 1,182 1,132 1,162

    구성원 현황

    구성원 현황 단위 2022 2023 2024
    총 임직원 수 18,122 17,985 17,919
    임원 수 1) 67 67 65
    성별 구분
    남성 66 63 63
    여성 1 4 2
    여성 비율 % 1.5 6.0 3.1
    연령별 구분
    30세 미만 0 0 0
    30~50세 0 0 0
    50세 초과 67 67 65
    근무지별 구분
    대한민국 67 65 63
    대한민국 이외 아시아권 0 2 2
    북미권 0 0 0
    남미권 0 0 0
    유럽권 0 0 0
    기타 0 0 0
    직원 수 1) 18,055 17,918 17,854
    성별 구분
    남성 17,046 16,918 16,841
    여성 1,009 1,000 1,013
    여성 비율 % 5.6 5.6 5.7
    연령별 구분
    30세 미만 3,035 3,241 3,139
    30~50세 7,353 7,472 7,873
    50세 초과 7,667 7,205 6,842
    근무지별 구분
    대한민국 17,628 17,519 17,442
    대한민국 이외 아시아권 320 306 305
    북미권 53 39 42
    남미권 13 17 29
    유럽권 35 25 26
    기타 6 12 10
    직원 중 관리직 수 2) 4,069 4,043 4,094
    성별 구분
    남성 3,998 3,972 4,013
    여성 71 71 81
    여성 비율 % 1.75 1.76 2.0
    연령별 구분
    30세 미만 1 2 3
    30~50세 1,191 1,363 1,650
    50세 초과 2,877 2,678 2,441
    근무지별 구분
    대한민국 3,887 3,864 3,906
    대한민국 이외 아시아권 135 138 142
    북미권 17 15 17
    남미권 10 11 13
    유럽권 18 11 13
    기타 2 4 3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정규직) 수 17,107 16,926 16,784
    성별 구분
    남성 16,147 15,970 15,817
    여성 960 956 967
    여성 비율 % 5.6 5.7 5.8
    근무지별 구분
    대한민국 16,688 16,535 16,373
    대한민국 이외 아시아권 315 300 304
    북미권 51 38 42
    남미권 13 16 29
    유럽권 34 25 26
    기타 6 12 10
    정규직 비율 % 94.4 94.1 93.7
    기간제 근로자(계약직) 수 1,007 1,052 1,129
    성별 구분
    남성 957 1,004 1,081
    여성 50 48 48
    여성 비율 % 5.0 4.6 4.3
    근무지별 구분
    대한민국 996 1,042 1,126
    대한민국 이외 아시아권 7 8 3
    북미권 2 1 0
    남미권 0 1 0
    유럽권 2 0 0
    기타 0 0 0
    계약직 비율 % 5.6 5.9 6.3

    1)임원은 등기, 미등기 임원을 모두 포함하며, 사업보고서의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채용

    채용 단위 2022 2023 2024
    신규 채용자 수 1) 1,669 1,511 1,535
    성별 구분
    남성 1,580 1,452 1,447
    여성 89 59 88
    여성 비율 % 5.3 3.9 5.7
    연령별 구분
    30세 미만 731 772 943
    30~50세 283 211 211
    50세 초과 655 528 381

    1)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이직

    이직 단위 2022 2023 2024
    총 이직자 수 1) 1,524 1,281 1,476
    이직률 % 8.4 7.1 8.2
    자발적 이직자 수 528 348 405
    남성 479 326 375
    여성 49 22 30
    자발적 이직률 % 2.9 1.9 2.3
    비자발적 이직자 수 996 933 1,071
    정년퇴직 588 519 559
    정리해고 0 0 0
    기타 408 414 512

    1)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인사평가

    인사평가 단위 2022 2023 2024
    정기성과 평가 받은 임직원의 수 15,300 15,663 15,524
    성별 구분
    남성 14,464 14,795 14,656
    여성 836 868 868
    고용형태별 구분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정규직) 15,137 15,492 15,360
    기간제 근로자 (계약직) 163 171 164

    교육

    교육 단위 2022 2023 2024
    총 교육 시간 시간 1,769,947 1,808,072 1,980,562
    남성 시간 - - 1,904,813
    여성 시간 - - 75,749
    1인당 교육 시간 시간 98 101 111
    성별 구분
    남성 시간 - - 113
    여성 시간 - - 75
    직책별 구분
    임원 시간 - - 154
    관리직 시간 - - 125
    일반 시간 - - 106
    총 교육 비용 백만 원 22,938 31,934 32,500
    1인당 교육 비용 백만 원/명 1.3 1.8 1.8
    산업안전보건교육 이수자 수 1) 73,964 82,366 54,602
    정보보안교육 이수자 수 17,180 17,073 17,260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정규직) 16,158 15,980 15,876
    기간제 근로자 (계약직) 1,022 1,093 1,384
    정보보안교육 시간 시간 24,338 14,228 12,945

    1)필수 교육 수료 기준으로 산정함에 따라 이수자 중복 산정

    다양성

    다양성 단위 2022 2023 2024
    장애인 재직 인원 수 1) 565 580 651
    국가보훈자 재직 인원 수 738 705 710

    1)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 28조의 3(장애인 고용인원 산정의 특례) 기준

    가족친화

    가족친화 단위 2022 2023 2024
    가족친화제도 사용 직원 수 950 965 1,064
    육아휴직 사용 직원 수 1) 242 260 293
    남성 133 156 186
    여성 109 104 107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속 직원 수 102 120 143
    남성 41 58 91
    여성 61 62 52
    난임휴가 사용 직원 수 81 111 109
    유연근무 사용 직원 수 2) 4,887 7,129 11,618

    1)사업보고서상 기준과 상이한 '당해년도 한 번이라도 육아휴직을 사용한 인원'이며, 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2022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2)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되었고 사업보고서의 집계오류에 따라 2023, 2024년 데이터는 사업보고서와 상이함.

    노사관계

    노사관계 단위 2022 2023 2024
    단체교섭협약 적용 직원 비율 % 100 100 100
    파업으로 인한 작업 중단 횟수 0 0 0

    사회공헌

    사회공헌 단위 2022 2023 2024
    임직원 자원봉사 시간 1) 시간 343,039 398,174 390,081
    사회공헌 비용 2) 백만 원 54,257 55,128 52,425

    1)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

    2)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2023년 데이터 조정

    품질경영 인증

    품질경영 인증 단위 2022 2023 2024
    품질경영시스템 인증률 (ISO 9001/IATF 16949) % 100 100 100
    대상 사업장 수 2 2 2
    취득 사업장 수 2 2 2

    국내 및 해외사업장

    업무 관련 재해(국내외)

    업무 관련 재해 단위 2022 2023 2024
    포스코 일관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가공센터
    근로손실재해율(LTIR) 명/20만 시간 0.19 0.02 0.07 0.02 0.03 0.17 0.04 0.04
    임직원 근로손실재해율(LTIR) 명/20만 시간 0.11 0.04 0.03 0.02 0.00 0.19 0.05 0.05
    관계사 근로손실재해율(LTIR) 명/20만 시간 0.25 0.00 0.10 0.03 0.05 0.14 0.03 0.03
    근로손실재해율(LTIFR) 명/100만 시간 0.93 0.08 0.35 0.12 0.13 0.83 0.19 0.20
    임직원 근로손실재해율(LTIFR) 명/100만 시간 0.56 0.19 0.17 0.09 0.00 0.94 0.27 0.24
    관계사 근로손실재해율(LTIFR) 명/100만 시간 1.26 0.00 0.50 0.14 0.26 0.72 0.13 0.14
    총기록사고율(TRIR) 명/20만 시간 0.35 0.03 0.33 0.06 0.16 0.36 0.09 0.35
    임직원 총기록사고율(TRIR) 명/20만 시간 0.27 0.08 0.35 0.07 0.17 0.39 0.09 0.41
    관계사 총기록사고율(TRIR) 명/20만 시간 0.41 0.00 0.32 0.06 0.15 0.33 0.09 0.29
    총기록사고율(TRIFR) 명/100만 시간 1.73 0.17 1.67 0.31 0.80 1.81 0.46 1.77
    임직원 총기록사고율(TRIFR) 명/100만 시간 1.37 0.38 1.76 0.36 0.84 1.96 0.45 2.06
    관계사 총기록사고율(TRIFR) 명/100만 시간 2.06 0.00 1.59 0.28 0.77 1.65 0.46 1.43
    사고사망만인율 0.29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임직원 사고사망만인율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관계사 사고사망만인율 0.63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임직원 재해
    임직원 근로손실재해자 수(LTI) 20 2 6 1 0 33 3 2
    임직원 총기록사고자 수(TRI) 49 4 62 4 3 69 5 17
    임직원 사망자 수 0 0 0 0 0 0 0 0
    임직원 재해자 수 14 0 4 1 0 25 3 1
    관계사 재해
    관계사 근로손실재해자 수(LTI) 50 0 20 2 1 26 2 1
    관계사 총기록사고자 수(TRI) 82 0 64 4 3 60 7 10
    관계사 사망자 수 1 0 0 0 0 0 0 0
    관계사 재해자 수 30 0 16 2 1 23 2 0

    안전보건 인증(국내외)

    안전보건 인증 단위 2022 2023 2024
    포스코 일관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가공센터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률
    (ISO 45001/OHSAS 18001/KOSHA-MS)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93
    대상 사업장 수 2 3 2 3 2 2 3 14
    취득 사업장 수 2 3 2 3 2 2 3 13

    구성원 현황(국내외)

    구성원 현황 1) 단위 2022 2023 2024
    포스코 일관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가공센터
    총 임직원 수 18,122 5,059 17,985 5,030 1,323 17,919 4,982 3,668
    임원 수 2) 67 6 67 6 5 65 5 6
    성별 구분
    남성 66 6 63 6 5 63 5 6
    여성 1 0 4 0 0 2 0 0
    여성 비율 % 1.5 0.0 6.0 0.0 0.0 3.1 0.0 0.0
    연령별 구분
    30세 미만 0 0 0 0 0 0 0 0
    30~50세 0 1 0 1 2 0 1 3
    50세 초과 67 5 67 5 3 65 4 3
    직원 수 18,055 5,053 17,918 5,024 1,318 17,854 4,977 3,662
    성별 구분
    남성 17,046 4,649 16,918 4,623 1,198 16,841 4,572 3,084
    여성 1,009 404 1,000 401 120 1,013 405 578
    여성 비율 % 5.6 8.0 5.6 8.0 9.1 5.7 8.1 15.8
    연령별 구분
    30세 미만 3,035 1,583 3,241 1,270 253 3,139 896 696
    30~50세 7,353 3,229 7,472 3,502 881 7,873 3,859 2,699
    50세 초과 7,667 241 7,205 252 184 6,842 222 267
    직원 중 관리직 수 4,069 404 4,043 411 189 4,094 414 719
    성별 구분
    남성 3,998 360 3,972 368 170 4,013 369 614
    여성 71 44 71 43 19 81 45 105
    여성 비율 % 1.7 10.9 1.8 10.5 10.1 2.0 10.9 14.6
    연령별 구분
    30세 미만 1 12 2 6 0 3 7 4
    30~50세 1,191 348 1,363 365 122 1,650 365 617
    50세 초과 2,877 44 2,678 40 67 2,441 42 98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정규직) 수 17,107 4,686 16,926 4,636 1,305 16,784 4,528 3,486
    성별 구분
    남성 16,147 4,337 15,970 4,291 1,185 15,817 4,184 2,943
    여성 960 349 956 345 120 967 344 543
    여성 비율 % 5.6 7.4 5.6 7.4 9.2 5.8 7.6 15.6
    정규직 비율 % 94.4 92.6 94.1 92.2 99.0 93.7 90.9 95.2
    기간제 근로자(계약직) 수 1,007 373 1,052 394 13 1,129 452 177
    성별 구분
    남성 957 319 1,004 338 13 1,081 391 142
    여성 50 55 48 56 0 48 61 35
    여성 비율 % 5.0 14.7 4.6 14.2 0.0 4.3 13.5 19.8
    계약직 비율 % 5.6 7.4 5.9 7.8 1.0 6.3 9.1 4.8

    1)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2)임원은 등기, 미등기 임원을 모두 포함

    채용(국내외)

    채용 단위 2022 2023 2024
    포스코 일관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가공센터
    신규 채용자 수 1) 1,669 327 1,511 211 82 1,535 180 273
    성별 구분
    남성 1,580 278 1,452 182 78 1,447 138 219
    여성 89 49 59 29 4 88 42 54
    여성 비율 % 5.3 15.0 3.9 13.7 4.9 5.7 23.3 19.8
    연령별 구분
    30세 미만 731 264 772 117 48 943 122 155
    30~50세 283 41 211 65 30 211 45 114
    50세 초과 655 22 528 29 4 381 13 4

    1)일부 집계 오류 및 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이직(국내외)

    이직 단위 2022 2023 2024
    포스코 일관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가공센터
    총 이직자 수 1) 1,524 244 1,281 253 70 1,476 237 377
    이직률 % 8.4 4.8 7.1 5.0 5.3 8.2 4.8 10.3
    자발적 이직자 수 528 226 348 225 65 405 162 213
    남성 479 188 326 198 59 375 138 180
    여성 49 38 22 27 6 30 24 33
    자발적 이직률 % 2.9 4.5 1.9 4.5 4.9 2.3 3.3 5.8
    비자발적 이직자 수 996 18 933 28 5 1,071 75 164
    정년퇴직 588 10 519 14 4 559 7 11
    정리해고 0 4 0 11 0 0 0 3
    기타 408 4 414 3 1 512 68 150

    1)일부 집계 오류 및 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품질경영 인증(국내외)

    품질경영 인증 단위 2022 2023 2024
    포스코 일관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포스코 일관밀 재압연밀
    ·가공센터
    품질경영시스템 인증률
    (ISO 9001 or IATF 16949)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대상 사업장 수 2 3 2 3 2 2 3 14
    취득 사업장 수 2 3 2 3 2 2 3 14